전자파 흡수율 (Specific absorption rate)
전자파 흡수율 (Specific absorption rate)의 의미
일상생활에서 전자기기(휴대폰, 컴퓨터, 전자레인지 등)를 이용할 때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전자파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전자파는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흡수가 될 수 있는데 이를 숫자로 표현한 값을 전자파 흡수율이라 합니다.
전자파 흡수율 테스트
전자파 흡수율의 의미
주파수가 낮은 (저주파, 1Hz~100Khz)전자파에 인체가 노출되면 인체에 유도되는 전류 때문에 신경을 자극하게 (자극작용)되고 주파수가 높은 (고주파, 100Ghz)전자파에 인체가 노출되면 체온을 상승시키는 열적 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휴대폰 전자파는 고주파로서 인체에 체온 상승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열적 작용을 정량적으로 표현한 것이 전자파 (인체) 흡수율입니다.
우리나라는 국제권고기준 (2W/kg)보다 엄격한 1.6W/kg으로 정하고 있으며 미국도 우리와 같은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안전기준인 1.6W/kg 은 위험 예상 가능 수준보다 50배나 더 엄격하게 설정한 것입니다.
휴대폰의 SAR 측정은 국립전파연구원 고시 제2015-23호(전자파 흡수율 측정기준)에 따르며 측정값이 기준을 만족할 경우만 판매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SAR 적합성 평가시험 수치와 실생활 통화시 SAR 수치의 차이점
적합성평가를 위한 SAR 시험 시에는 휴대폰 출력이 최대인 상태에서 측정하나 실제 통화시에는 기지국과의 통신에 필요한 최소한의 출력만 사용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시험시 보다 훨씬 낮은 출력 상태가 되므로 일상적인 통화시의 SAR값은 휴대폰 적합성평가 시험시의 SAR 값에 비해 매우 적습니다.
실생활에서 휴대폰 통화시에는 전화기를 잡는 방법과 기지국과의 거리 및 특성에 따라 SAR값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러한 일상의 통화시에 SAR 값의 차이는 서로 다른 휴대폰 제조회사 모델들 간의 측정 SAR 값의 차이는 서로 다른 휴대폰 제조회사 모델들 간의 측정 SAR 값의 차이보다 훨씬 큽니다.
SAR 측정 대상은?
전자파 강도 및 전자파 흡수율 측정 대상 기자재 고시 제2조에 따라 공중선 전력이 20mW를 초과하고 통상 이용상태에서 전파 발사 중시점이 인체로부터 20cm 이내에 위치하는 휴대용 송신 무선설비 (무선설비를 내장한 방송통신기자재를 포함)입니다.
국내에 전자파 적합성 인증 기준 특히 SAR 기준은 국제권장표준 보다 상당히 높은 관계로 해외 제품들이 KC 전자파 적합성 인증을 통과 하여 국내에 들여오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