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들리에 등기구 의 KC인증
컨버터를 이용하여 LED 모듈이 내장된 샹들리에 커버내에 있는 LED에 전원을 공급하게 됩니다.
천장에 다양한 모형의 조형물을 등기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광원 및 눈부심도 적합하며 유럽식 모던 한 디자인에 안정성도 확보된 LED를 사용합니다.
등기구를 점등할때에는 컨버터를 사용하여 하며 DC32V를 초과하는 별도의 LED Controller 를 사용하기 때문에 KC인증받은 컨트롤러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전자파 적합등록 인증 과 전기안전확인 을 통하여 KC인증을 진행할때에도 KC인증 받은 Controller를 필수적으로 제출하여야 합니다.
등기구의 외함의 경우는 유리재질 또는 UL인증을 받은 재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LED용 컨트롤러에 대한 KC인증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도 UL인증을 받은 PCB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UL인증의 경우 수직 난연시험을 통하여 K0, K1인증 등급을 획득할수 있습니다.
*파생모델의 분류 : 20W미만, 20W~50W, 50~100W, 100~150W 군에 속하는 샹들리에 등기구의 경우 같은 군에 속하면 등기구의 종류 밑 입력전원, 사용LED가 동일할시에
파생모델 군으로 엮어 파생모델로 인증을 진행할수 있으며 추후 단순기술변경에 의한 파생모델로 인증시험 진행할수 있습니다.
파생모델로 인증을 진행할시 전기안전확인 을 위하여서는 별도의 시료를 제출 하여야 합니다.
파생모델로 전자파 적합등록을 진행할시에는 서류적인 확인 및 변경신청을 통하여 파생모델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KC인증 예외 대상 : 150W 를 초과하는 경우 별도의 KC인증을 받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중 USB 혹은 Battery 를 통하여 충전하는 충전하는 전기전자 제품의 경우
USB는 별도의 전기안전인증이 필요 없으며 Battery 는 국내에서 인증 받은 Battery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인증 받지 않은 베터리를 전원공급원으로 사용하실경우 베터리에 대한 전기안전인증을 별도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실내 등기구
가정, 카페테리아, 사무실, 인테리어 공간등에 사용되는 모던한 디자인의 다양한 해외 실내형등기구가 많이 출시되고 있는데요
대부분의 천장형등의 경우 직부형 매입구조로서 220[VAC]전원을 이용하여 천장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천장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AC/DC Led controller 를 이용하여 안정된 전류를 이용하여 해당 LED를 점등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게 됩니다.
LED Controller를 사용하는 경우에 는 반드시 KC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컨버터를 사용하지 않고 220[VAC]전원을 사용하는 에디슨 램프등 과 같은 LED 등 타입의 경우 구조검사를 포함한 전기안전확인을 진행하게 되며 기본인증 비용은 70만원가량 발생하게 되며
20[KG]을 초과하는 경우 무게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혹은 LED 발광 소자와 정전류 제어회로가 일체형인 경우에는 해당 제어회로의 형태에 따라 전기안전확인 시험시 해당 등기구에 대한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천장형 등기구의 경우 샹들리에 등과 마찬가지로 플러그. 전선, 소켓 에 대하여 KC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전선과 천장형 등기구간에 접속되는 부분의 Anchoring 등을 확인 하셔야 합니다.